중국 TV 바둑 속기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 TV 바둑 속기전은 중국에서 개최되는 바둑 기전으로, 고단자 기사들이 출전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1987년부터 시작되어 여러 차례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당호십국배로 진행되고 있다. 제한 시간은 1수 30초이며, 1분 초읽기 10회가 주어진다. 마샤오춘은 이 대회에서 6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KBS 바둑왕전 및 NHK배 TV 바둑 토너먼트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바둑 기전 - 왕중왕바둑쟁패전
왕중왕바둑쟁패전은 중국에서 열리는 바둑 대회로, 독특한 대국 규정 하에 셰얼하오, 커제, 리쉬안하오, 리웨이칭 등이 우승했다. - 중국의 바둑 기전 - 서남왕배
서남왕배는 중국 서남 지역 바둑 기사들이 참가하는 기전으로, 2002년 시작되어 윈난, 구이저우, 충칭, 쓰촨 4개 팀과 초청 선수들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쟁하며, 2024년 기준 우승 상금은 25만 위안이고 구링이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바둑에 관한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바둑에 관한 - 충암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는 1965년 설립된 학교법인 충암학원이 운영하는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며, 1969년 개교하여 인문계열 교육과 국내 최대 규모의 바둑 도장 운영을 병행하고, 윤석열 대통령, 배우 김명민, 프로 바둑 기사 이창호 등 다양한 분야의 동문을 배출했다.
중국 TV 바둑 속기전 | |
---|---|
기본 정보 | |
![]() | |
주최 | 중국중앙텔레비전 (CCTV) 중국바둑협회 |
방식 | 토너먼트 |
제한 시간 | 각자 30초, 10회 1분 고려 시간 |
우승 상금 | 25만 위안 |
준우승 상금 | 10만 위안 |
역대 우승자 | |
1회 | 마샤오춘 |
2회 | 류샤오광 |
3회 | 차오다위안 |
4회 | 위빈 |
5회 | 장원둥 |
6회 | 창하오 |
7회 | 딩웨이 |
8회 | 구리 |
9회 | 쿵제 |
10회 | 쑨텅위 |
11회 | 리저 |
12회 | 우광야 |
13회 | 탄샤오 |
14회 | 양딩신 |
15회 | 미위팅 |
16회 | 커제 |
17회 | 펑리야오 |
18회 | 자오천위 |
19회 | 리친청 |
20회 | 쉬자양 |
21회 | 딩하오 |
2. 대회 방식
CCTV 바둑 속기전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속기전 기전으로, CCTV 방송국이 후원한다. 대회 방식은 다음과 같다.
특징 | 내용 |
---|---|
출전 기사 | 고단자 중에서 선발 |
토너먼트 규모 | 제1회 8명, 제3회 16명, 제5회 32명, 제12회 64명, 이후 32명 |
제한 시간 | 1수 30초, 1분 고려 시간 10분 |
2. 1. 참가 자격
CCTV 바둑 속기전 우승자와 준우승자는 아시안 TV 컵에 출전할 자격을 얻으며, 일본의 NHK배와 대한민국의 KBS 바둑왕전 우승자 및 준우승자와 경쟁한다. 각 선수는 1시간의 기본 시간과 60초의 초읽기를 갖는다.[3] 2021년에 시간 규정이 이전의 30초에 1수 두는 것보다 훨씬 느리게 변경되었다.[2]2. 2. 대국 규정
제한 시간은 1수 30초, 1분 초읽기 10회이다.[3][2] 덤은 7집반(3/4자)으로 중국 룰을 적용하며,[3] 계가는 중국식으로 진행된다.[3] 출전 기사는 고단자 중에서 선발된다. 제1회에는 8명, 제3회에는 16명, 제5회에는 32명, 제12회에는 64명이 토너먼트전을 벌였으며, 이후 다시 32명으로 변경되었다.2. 3. 상금 (2024년 기준)
2024년 기준 우승 상금은 35만위안이다.[5] 2019년 우승 상금은 25만위안였고,[1] 2020년에 30만위안로 인상되었으며,[2] 2023-24년 컵부터 현재의 35만위안로 다시 인상되었다.[5]3. 역대 우승자
연도 | 우승자 | 준우승자 |
---|---|---|
1987 | 녜웨이핑 | 차오다위안 |
1988 | 첸유핑 | 차오다위안 |
1989 | 마샤오춘 | 녜웨이핑 |
1990 | 첸유핑 | 류샤오광 |
1991 | 마샤오춘 | 차오다위안 |
1992 | 마샤오춘 | 녜웨이핑 |
1993 | 녜웨이핑 | 마샤오춘 |
1994 | 마샤오춘 | 첸유핑 |
1995 | 마샤오춘 | 녜웨이핑 |
1996 | 차오다위안 | 왕레이 |
1997 | 녜웨이핑 | 위빈 |
1998 | 차오다위안 | 마샤오춘 |
1999 | 창하오 | 류징 |
2000 | 딩웨이 | 뤄시허 |
2001 | 후야오위 | 마샤오춘 |
2002 | 마샤오춘 | 딩웨이 |
2003 | 저우허양 | 펑취안 |
2004 | 구리 | 위빈 |
2005 | 류싱 | 구리 |
2006 | 뤄시허 | 왕시 |
2007 | 푸옌야오 | 천야오예 |
2008 | 셰허 | 리저 |
2009 | 쿵제 | 저우허양 |
2010 | 천야오예 | 구링이 |
2011 | 중원징 | 왕레이 |
2012 | 퉈자시 | 롄샤오 |
2013 | 왕시 | 장웨이제 |
2014 | 리친청 | 타오신란 |
2016 | 미위팅 | 리친청 |
2017 | 장타오 | 리쉬안하오 |
2018 | 판팅위 | 판윈뤄 |
2019 | 딩하오 | 쉬자양[1] |
2020 | 구쯔하오 | 롄샤오[2] |
2021 | 커제 | 당이페이[3] |
2022 | 스웨 | 셰얼하오[4] |
2023 | 황밍위 | 스웨[5] |
3. 1. CCTV배 (1987-2001)
회수 | 연도 | 우승 | 전적 | 준우승 |
---|---|---|---|---|
1 | 1987 | 녜웨이핑 | 1-0 | 차오다위안 |
2 | 1988 | 첸위핑 | 1-0 | 차오다위안 |
3 | 1989 | 마샤오춘 | 1-0 | 녜웨이핑 |
4 | 1990 | 첸위핑 | 1-0 | 류샤오광 |
5 | 1991 | 마샤오춘 | 1-0 | 차오다위안 |
6 | 1992 | 마샤오춘 | 1-0 | 녜웨이핑 |
7 | 1993 | 녜웨이핑 | 1-0 | 마샤오춘 |
8 | 1994 | 마샤오춘 | 1-0 | 첸위핑 |
9 | 1995 | 마샤오춘 | 1-0 | 녜웨이핑 |
10 | 1996 | 차오다위안 | 1-0 | 왕레이 |
11 | 1997 | 녜웨이핑 | 1-0 | 위빈 |
12 | 1999 | 창하오 | 1-0 | 류징 |
13 | 2001 | 후야오위 | 1-0 | 마샤오춘 |
1998년에는 아이다배, 2000년에는 부부고배라는 이름으로 대회가 열렸다. | ||||
1 | 1998 | 차오다위안 | 1-0 | 마샤오춘 |
1 | 2000 | 딩웨이 | 1-0 | 뤄시허 |
3. 2. 아이두오(爱多)배 (1998)
1998년에 개최된 아이두오(爱多)배에서는 차오다위안 九단이 마샤오춘 九단을 1-0으로 꺾고 우승했다.[1]
3. 3. 부부가오(步步高)배 (2000)
2000년에 개최된 부부가오(步步高)배에서는 딩웨이가 뤄시허를 1-0으로 꺾고 우승했다.[3]
3. 4. 초상은행(招商银行)배 (2002-2011)
2002년부터 2011년까지는 초상은행(招商銀行, 자오상은행)이 후원하여 '초상은행배'로 대회가 진행되었다.연도 | 우승자 | 준우승자 |
---|---|---|
2002 | 마샤오춘 | 딩웨이 |
2003 | 저우허양 | 펑취안 |
2004 | 구리 | 위빈 |
2005 | 류싱 | 구리 |
2006 | 뤄시허 | 왕시 |
2007 | 푸옌야오 | 천야오예 |
2008 | 셰허 | 리저 |
2009 | 쿵제 | 저우허양 |
2010 | 천야오예 | 구링이 |
2011 | 중원징 | 왕레이 |
3. 5. 중신은행(中信银行)배 (2012-2014)
2012년부터 '중신은행배(제1기)'라는 이름으로 대회가 개최되었다.
3. 6. 샹위(象屿)배 (2016)
2016년 샹위(象屿)배에서는 미위팅이 리친청을 꺾고 우승했다.[1]3. 7. 당호십국(当湖十局)배 (2017-2023)
2017년부터 '저장 핑후·당후 10국배(제1기)'라는 이름으로 대회가 개최되었다.연도 | 우승자 | 준우승자 |
---|---|---|
2017 | 장타오 | 리쉬안하오 |
2018 | 판팅위 | 판윈뤄 |
2019 | 딩하오 | 쉬자양 [1] |
2020 | 구쯔하오 | 롄샤오 [2] |
2021 | 커제 | 당이페이 [3] |
2022 | 스웨 | 셰얼하오 [4] |
2023 | 황밍위 | 스웨 [5] |
4. 기록
마샤오춘 9단이 6회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5. 국제 교류
CCTV 바둑 속기전 우승자와 준우승자는 아시안 TV 컵에 출전하여 일본 NHK배, 대한민국 KBS 바둑왕전 우승자 및 준우승자와 경쟁한다. 선수에게는 1시간 기본 시간과 60초 초읽기가 주어진다.[3] 2021년 이전에는 30초에 1수를 두는 방식이었으나, 이후 변경되었다.[2]
우승 상금은 2024년 기준 이다.[5] 2019년 ,[1] 2020년 로 인상되었다가,[2] 2023-24년 대회부터 다시 현재 금액으로 인상되었다.[5]
5. 1.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CCTV 바둑 속기전의 우승자와 준우승자는 아시안 TV 컵에 출전할 자격을 얻으며, 여기서 일본의 NHK배와 대한민국의 KBS 바둑왕전 우승자 및 준우승자와 경쟁한다.[3]5. 2. 자매 결연 기전
- KBS 바둑왕전
- NHK배 TV 바둑 토너먼트(NHK杯テレビ囲碁トーナメント일본어)
참조
[1]
간행물
快棋赛丁浩小胜许嘉阳夺冠 二人将出征亚洲杯
http://sports.sina.c[...]
2019-04-09
[2]
간행물
辜梓豪战胜连笑,首夺电视快棋赛冠军
https://www.bjnews.c[...]
2020-09-24
[3]
간행물
柯洁首夺CCTV快棋赛冠军 清华学子之争学长胜
https://sports.sina.[...]
2021-12-05
[4]
간행물
当湖十局杯决赛时越力克谢尔豪加冕冠军
https://sports.sina.[...]
2022-09-16
[5]
간행물
洛阳围棋国手时越获中国快棋赛亚军
https://news.lyd.com[...]
2024-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